티스토리 뷰
목차
경북 상주에 52년 전통을 자랑하는 수제 찹쌀떡 전문점이 있다. ‘세느제과’는 정성과 장인의 기술로 만들어진 찹쌀떡을 전국으로 택배 배송하며, 최근 TV 프로그램 ‘한국기행’에 소개돼 화제를 모았다.
1. 상주 52년 전통 수제 찹쌀떡, 장인의 손끝에서 빚어낸 시간의 맛
경북 상주, 오래된 시골 마을의 골목 한편에 자리 잡은 작은 빵집. 이곳은 단순한 동네 제과점이 아니다.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한 자리를 지켜온 전통의 빵집, 바로 ‘세느제과’다. ‘한국기행’에 소개되며 최근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이 빵집은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택배로 주문이 몰릴 만큼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특히 ‘상주 찹쌀떡’이라는 키워드로 입소문을 타며 꾸준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세느제과의 대표 메뉴는 단연 수제 찹쌀떡이다. 하지만 이 찹쌀떡은 일반적인 제품과는 결이 다르다. 매일 새벽 3시에 문을 여는 성춘택 제빵사는 상주 지역에서 수확한 최상급 찹쌀을 세 번에 걸쳐 곱게 갈아내고, 이를 반죽한 뒤 화로에 구운 밤과 좁쌀을 넣는다. 이렇게 완성된 찹쌀떡은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은 물론, 인위적인 단맛이 아닌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찹쌀떡 하나에 인생을 바친 성춘택 제빵사는 70세가 넘은 지금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새벽을 연다. 그가 고집스럽게 지켜온 것은 단순한 조리법이 아닌, 손끝으로 전해지는 미세한 감각이다. 반죽의 온도, 손의 압력, 재료의 수분까지 모두 계산해야 제대로 된 찹쌀떡이 탄생한다. 그래서 그는 "찹쌀떡은 손으로 빚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빚는 것"이라 말한다.
최근 그의 큰아들 민수 씨가 가업을 잇기 위해 돌아왔다. 하지만 아버지의 반대와 엄격한 기준은 만만치 않다. 민수 씨는 하나하나 직접 부딪히며 배우고 있다. 반죽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수차례 다시 만들고, 구운 밤이 제대로 숙성되지 않으면 다음 날 다시 손질해야 한다. 아버지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선 반복과 인내가 필요하다.
이런 이야기 속에 녹아든 건 단지 찹쌀떡의 레시피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세대를 잇는 ‘맛의 유산’이자, 기술과 철학의 전승이다. 세느제과의 찹쌀떡은 이런 과정에서 더욱 깊은 풍미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정성이 고스란히 담겨있기에 ‘상주 수제찹쌀떡’은 전국적으로 찬사를 받고 있으며, 택배 주문으로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한국기행 상주 찹쌀떡 수제찹쌀떡 빵나오는 시간(상주 세느제과)
9시, 11시, 1시, 3시
2. 매일 새벽 피어나는 빵 냄새, 세느제과의 다양한 빵 이야기
세느제과는 수제 찹쌀떡만으로 운영되는 곳이 아니다. 매일 아침 3시에 문을 열고 진열대를 채우는 다양한 종류의 빵들은 이 빵집이 단순한 전통 떡집이 아닌, 완성도 높은 제과 전문점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고소한 밤만주부터 옥수수식빵, 크림빵, 모카빵, 피자빵, 보리카스텔라, 시몬빵, 팥빵까지… 세느제과의 빵은 그날 만든 ‘당일 생산 당일 소진’ 원칙을 고수한다.
가장 인기 있는 품목 중 하나는 밤식빵이다. 상주 지역에서 직접 공수한 밤을 듬뿍 넣고 구워낸 이 빵은, 달지 않고 은은한 단맛이 특징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이 빵을 ‘빵 속에 가을이 들어 있다’고 평할 정도다. 우유식빵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담백한 맛을 자랑하며, 크림빵은 직접 만든 생크림을 넣어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메뉴는 ‘보리카스테라’다. 보리를 갈아 만든 반죽에 달걀과 우유를 섞어 구워내는 이 제품은, 요즘 찾기 힘든 옛날 과자 느낌을 그대로 살려낸다. 이 외에도 시몬빵이나 피자빵처럼 현대적인 감각을 반영한 메뉴들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매일 아침, 상주 지역민들이 가장 먼저 찾는 장소는 다름 아닌 세느제과다. 진열대에 빵이 올라오는 시간이 되면 하나둘 줄이 생긴다. 이곳의 고정 고객들은 말한다. “세느제과는 10년 전도 지금도 똑같은 맛이다.” 이 말은 단순한 칭찬이 아니라, 신뢰의 표현이다. 트렌드가 바뀌고 소비자의 입맛이 변해도, 세느제과의 기본 철학은 흔들림이 없다.
빵의 종류와 구성은 가족 단위 손님이나 단체 주문에도 적합하다. 실제로 상주를 여행 온 관광객들이 단체로 구매해 가는 경우도 많고, 지역 외 소비자들도 택배 주문으로 ‘찹쌀떡과 빵 세트’를 주문하기도 한다. 이처럼 찹쌀떡 외에 다양한 빵들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세느제과의 큰 장점이다.
*새벽 6시~ 밤 11시 (소진시 조기 마감)
3. 상주 세느제과 찹쌀떡, 전국 어디서나 택배 주문 가능
세느제과의 찹쌀떡과 빵은 이제 상주 지역 주민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한국기행’에 소개된 이후, 전국에서 ‘상주 찹쌀떡 택배 주문’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방송 이후 1주일간 주문이 폭주하며 일시적으로 접수가 중단될 정도였다. 이 찹쌀떡이 왜 이렇게 인기일까?
첫째, 원재료의 차이다. 상주의 토질과 기후에서 자란 찹쌀은 입자가 고르고 찰기가 풍부하다. 이를 직접 손으로 세 번 빻아 만드는 전통 방식이 다른 찹쌀떡과의 차별점이다. 두 번째는 단맛의 절제. 요즘처럼 단맛이 강한 간식에 익숙한 소비자들에게, 세느제과의 찹쌀떡은 오히려 ‘편안하고 건강한 맛’으로 다가간다.
택배 주문 방식도 간편하다. 전화나 SNS를 통해 일정 수량 이상 주문이 가능하며, 아이스박스 포장으로 신선도를 유지해 전국 어디든 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명절 선물세트, 부모님 생신 선물, 기업 단체 간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활용도도 높다. 특히 어르신들에게는 옛 추억을, 젊은 층에게는 새로운 전통 간식의 발견을 선물하는 메뉴다.
세느제과의 찹쌀떡은 단순한 먹거리 그 이상이다. 한 가문의 전통, 상주라는 지역의 농산물, 장인의 기술, 가족의 서사가 결합된 결과물이다. 그래서 이 찹쌀떡을 먹는다는 것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즐긴다는 의미를 넘어, 한 조각의 역사와 정성을 음미하는 일이기도 하다.
찹쌀떡을 주문하고자 한다면 ‘상주 수제찹쌀떡 택배 주문’, ‘세느제과 찹쌀떡’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공식 연락처를 통해 문의가 가능하다.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정통의 찹쌀떡, 그 감동을 이제 집에서도 즐길 수 있다.
한국기행 상주 찹쌀떡 수제찹쌀떡 주차장 (상주 세느제과)
* 주차는 도보 2분 거리 남성동 공영주차장을 이용 하면 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앙시장길 27 세느제과
결론
상주 세느제과의 수제 찹쌀떡은 전통과 정성이 깃든 음식이다. 장인의 손끝에서 태어난 이 찹쌀떡은 전국 어디서든 택배로 주문 가능하며, 변하지 않는 진심과 맛으로 오늘도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